도메인 지식/의료기관 3

수가, 약가, 상병

이전에 작성하였던 보험에 대한 내용을 이어서 수가, 약가, 상병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보험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https://mukstory97.tistory.com/36 보험에 대하여 EMR 프로그램 혹은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보험이란 무엇일까? 보험의 종류는 1. 국민건강보험 2. 일반 3. 공상 4. 자보( 자동차보험) 5. 산재 6. 보호 등과 같이 구분되어져 있습니다. 해당 용어들에 mukstory97.tistory.com 1. 수가, 약가 먼저 의료기관에서는 여러 가지 용어를 사용하여 가격과 관련된 정의를 하고 있는데 수가, 약가, 치료재료대 가격 등이 있습니다. 약가는 예상하시듯이 약에 대한 비용을 뜻 합니다. 여기서 약가와 관련된 퇴장방..

보험에 대하여

EMR 프로그램 혹은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보험이란 무엇일까? 보험의 종류는 1. 국민건강보험 2. 일반 3. 공상 4. 자보( 자동차보험) 5. 산재 6. 보호 등과 같이 구분되어져 있습니다. 해당 용어들에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국민건강보험 - 국민건강 보험이란? : 국민건강보험은 법적으로 모든 국민이 가입하도록 되어있는 보험이며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보험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국민을 대상으로 건강보험료를 받아 국민이 병원에 내원(방문)했을 때 해당 진료에 사용된 비용에 대하여 전액/일부금을 건강보험공단에서 지불하고 나머지 금액만 환자가 부담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한 주체란 흔히 세대주가 되며, 본인이 세대주인 경우에는 가입자성명과 수진자의 성명이 동일하지 ..

원무 프로세스

병원에 환자가 방문하는 것을 내원이라고 합니다. 환자가 내원을 하게되면 접수를 하게되고 해당환자를 의사가 존재하는 진료실로 불러 진료를 보고 의사는 해당환자의 증상을 파악하고 환자에 현상황에 맞는 상병(이환자가 아픈이유)를 지정합니다. 이때 환자가 아픈 주된이유를 주상병(1개) 라고하고 다른 부수적인 이유를 부상병(여러개 가능) 이라고 합니다. 그 후 의사는 환자의 병세를 파악하고 그에맞는 처방을 내리게되는데 이 처방에는 환자가 먹을 약, 주사, 여러가지 요법치료, 수술, 검사등 을 내릴 수 있습니다. 해당 환자가 검사, 치료, 진단서발부 등 여러가지 프로세스를 거치게되면 최종적으로 진료비금액에 수납을 진행하게됩니다 이때 대한민국의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된 가입자라면 보험혜택을 받게되는데 이떄 금액이 환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