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맘대로 정리 11

컴퓨터구조

컴퓨터 구조 기말고사 정리 3장. 요약 - 명령어는 CPU가 사용하는 언어 - 명령어 집합은 특정 CPU를 위해 정의된 명령어 모음을 의미 - 명령어 집합구조는 작성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을 수행할 컴퓨터 하드웨어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완전한 정의 혹은 명세이다. -대부분의 명령어는 3개의 피연산 주소를 가지기 때문에 3주소 명령어라고한다 누산기를 사용하는 명령어는 피연산자로 누산기를 명시할 필요가 없어서 근원지 피연산자 중에서 하나만 명시하므로 1주소 명령어 라고한다. 스택을 사용하는 명령어는 피연산자에 대한 위치를 명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0주소명령어 라고한다 프로그램 계수기 –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보관하는 레지스터 이 레지스터는 명령어를 인출한 후에 명령어 길이만큼 증가되어 다음..

내맘대로 정리 2020.03.11

컴퓨터네트워크

#OSI 7계층 목표 : 네트워크 통신을 작고 개발하기 간단하게, 제품 표준을 정해 여러회사 상호 가능하도록 , 계층을 나누어 네트워크 통신을 이해하기 쉽게함 Layer 7: 응용 계층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ex) telnet , HTTP Layer 6: 표현 계층 (프레센테이션)(데이터의표현) ex) ASCII , JPEG 등 Layer 5: 세션 계층 (세션) //세션부터 상위계층 (다른 응용데이터를 분리하는 일수행) Layer 4: 전달 계층(트렌스포트)(신뢰성이 있거나 없는 전송 , 전송전 데이터 오류 수정) ex) 신뢰성 있는 전송 = TCP , 신뢰성 없는전송 = UDP Layer 3: 네트워크 계층(네트워크)(라우터에서 경로결정 하는데 사용되는 논리 주소 제공 ex IP 주소..

내맘대로 정리 2020.03.11

자료구조

추상 데이터 타입(ADT: Abstract Data Type) 데이터 타입을 추상적(수학적)으로 정의한 것 데이터나 연산이 무엇(what)인가는 정의되지만 데이터나 연산을 어떻게(how) 컴퓨터 상에서 구현할 것인지는 정의되지 않는다. 자연수 Nat_No zero() ::= return 0; Boolean is_zero() ::= if (x=0)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Nat_No add(x,y) ::= if( (x+y) 연산자만 스택에 저장했다가 출력하면 된다. 2+3*4 -> 234*+ 자료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차수가 가장 큰 항이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치고 다른 항들은 상대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 1. Factorial 프로그램 -소스코드 #include #incl..

내맘대로 정리 2020.03.11

모바일프로세서(아두이노)

PWM 디지털 신호의 일종이지만 아날로그 신호와 유사한 효과.(0~255) analogWrite() 함수사용 아두이노 보드에서 ~ 표시가 있는곳 인터럽트 -예외상황 처리 , 스위치 - 채터링 /바운스 현상 : 버튼의 물리적인 진동에 의해 버튼을 한번 누를 때 두 번이상 눌러 진 것으로 인식되는 현상 해결방법 : 커페시터를 이용 – 미세한 신호는 커페시터에서 압축 , 강한신호만 보낸다 슈미트 트리거 사용 – 신호가 애매한 구간은 없앤다 (필터링) 인터럽트 #define blue 11 #define green 12 #define red 13 #define swich1 2 #define swich2 3 void setup() { //pinMode(13, OUTPUT); pinMode(13, OUTPUT); p..

내맘대로 정리 2020.03.11

데이터베이스

0905 DB 관계형 모델 (2장. 4. 1 장) relational Model -E.F.codd : 주어진 n개의 집합(같은종류의 원소)모임 D1,D2.... Dn 에 대하여 순서화된(ordered) n- tuples의 집합 R 을 이 n개의 집합에 대한 관계라 한다. n-tuple :n개의 집합들 속에서 하나씩 원소를 뽑아 뽑아 하나로 묶어놓은 것. -집합의 범위를 도메인 이라고 한다. 집합의 이름은attribute 이라고한다. -테이블로 정리했을 때 정보가 들어있는 한 행을 튜플이라고 한다. -릴레이션은 애트리뷰트와 튜플 로 구성되어있다... -열(애트리뷰트의 개수)를 차수라고 하고, 투플들의 개수 (행)을 카디날리티 라고한다. -애트리뷰트 중에 구분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준을 만들 수 있는 것인 기..

내맘대로 정리 2020.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