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STS를 사용하다가 너무 속도가 느려서 VSCode로 백엔드 코드를 돌리기위해
여러 방법을 찾아보았는데 블로그마다 방법이 달라서 정리해봅니다.
먼저 Visual Studio Code에서 Spring 프로젝트를 돌리기 위해서는 아래의 Extension을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Project Manager for java
Maven for java
Language support for java
Spring boot Dashboard
Spring boot Extension Pack
Spring Boot Tools
Spring Initializr
java Support
Extension pack for java
저는 Maven을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익스텐션을 사용했는데 gradle 사용자 분들은
추가적으로 추가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위의 Extension을 설치하고 폴더를 open하면 로딩을 하게되는데
로딩이 끝나면 우측아이콘 하단에
위와 같이 Spring 아이콘이 생기게 됩니다.
해당 아이콘에 들어가서 실행시키시면 해당 프로젝트가 시작됩니다.
하지만 이때 저는 CONSOLE에서 한글출력이 깨져서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고
아래와 같은 설정을 추가적으로 해주어서 한글깨짐을 현상을 수정했습니다.
1 . VSCode 우측하단에 Teb Size 우측에 문자열 포맷을 UTF-8 로변경합니다.
2. ctlr + , 키를 눌러 encoding 검색 후 인코딩 UTF-8로 변경 및 Auto Guess Encoding 체크
3. ctlr + , 키를 눌러 java.jdt검색 후 edit in settings.json 클릭
"terminal.integrated.profiles.windows": {
"mPowerShell": {
"source": "PowerShell",
"args": ["-NoExit", "-Command ", "[Console]::OutputEncoding = [System.Text.Encoding]::UTF8"]
}
},
위 코드에서 args부분이 다르다면 위와 같이 수정.
4. "java.jdt.ls.vmargs": 부분에
"java.jdt.ls.vmargs": "-Dfile.encoding=utf-8” 와 같은 형태로 추가 (해당 부분 뒤쪽 나머지 정보는 유지)
'환경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Code Maven Clean 기능 사용방법 (0) | 2023.08.11 |
---|---|
인텔리제이(Inteli J community) - Spring Boot Kotlin 프로젝트 설정하기 (0)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