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 어플리케이션
1) 타임오더
- 선결제 주문 서비스로 어플을 통해 주문한 서비스가 매장 POS에 연동되는 주문자동화 시 스템
- 커피전문점과 해당 매장의 고객들을 이어주는 O2O (Online to offline) 플랫폼 서비스로, 현재 위치에서 가깝거나, 고객이 즐겨 찾는 가게를 선택한 후 결제한 뒤 약속한 시간에 맞 춰 가게에 들러 주문한 음료를 찾으면 된다.
- 타임오더 앱 활용으로 매장 내 길게 늘어선 줄로 인한 고객 혼잡을 해결 할 수 있고, 주문 받는 인력의 인건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고객은 줄 서느라 낭비되던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다.
- SNS를 통해 영향력을 끼치는 인플루언서함께 소규모 카페를 위한 홍보·리뷰 영상을 무료로 자체 제작하여 자체 플랫폼을 통해 공개 및 홍보
- 맞춤형 광고 진행으로 매장 홍보를 지원
2) 세종페이
- 비대면(원격) ARS 결제가능, PC 및 Mobile에서 모두 이용 가능한 온/오프라인 통합결제 솔루션
- 복잡한 결제프로그램 및 단말기 설치 불필요, 세종페이 APP/WEB/API 연동을 통한 간편 결제(상품조회 → 카드 승인 → 승인 취소’ 한번에 가능)
대면결제
- 판매자가 카드정보를 직접입력하여 결제하는 서비스 (카드수기결제)
- 판매자가 앱에서 휴대형 카드 리더가를 통해 결제가능
비대면결제(ARS결제)
1. 구매자는 가맹점 상품을 구매
2. 가맹점은 세종페이 ARS 결제 시스템에 구매자 결제정보를 등록
3. 가맹점은 구매자에게 ARS 번호가 포함된 결제요청 문자를 전송
4. 구매자는 수신된 문자에 있는 ARS 번호에 접속하여 음성 안내에 따라 카드 정보를 입력 후, 결제
SNS방식 결제
- 세종페이앱에서 문자로 웹페이지 링크를 보내 결제페이지를 사용해 결제하는 방식
- 현금영수증 기능.
세종페이의 비즈니스모델
– 세종페이 등록시 등록비, 매월 납입금.
- APP/WEB 유지보수, 결제문자 발송비, ARS 번호 사용료, ARS 접속회선 사용료
3) 서빙
- 해쉬태그를 이용해 검색가능.
- 리스트된 맛집들에는 대표메뉴 사진들과, 위치, 현재 예약이 가능한곳인지 까지 표시.
- 식당의 상태, 실시간 빈자리 확인, 메뉴나오는 시간 계산해서 소비자에게 표시.
- 선결제 가능, 사용하는 사람들의 리뷰를 볼 수 있음
5) 포잉
- 레스토랑 전문 온라인 미디어로서의 브랜드 우위, 외식 O2O 분야에서의 사업 확장성, 온라 인 레스토랑 예약 서비스를 선도, 레스토랑 사업자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시스템 인프라구축
B2B
- 레스토랑을 만나볼 수 있는 다이닝 티켓, 특별한 미식 경험을 선사하는 다이닝 프로젝트
- 플랫폼에서 다양한 레스토랑을 추천 및 검색과 예약, 결제
B2C
- 안정적인 레스토랑 운영을 위하여 필수 서비스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
- 편리한 고객 관리 및 예약/테이블 관리 서비스,
- No-show 방지를 위한 보증금 결제 시스템,
- 30자 이상의 리뷰만 작성이 가능. 자체 리뷰 알고리즘 및 모니터링을 통한 광고성-악성 리 뷰 자동 필터링.
2. 앱 일반적인 비즈니스모델
1) 다운로드당 수익을 얻는 유료 앱 모델 (Monetizing apps with pay per download)
- 앱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결제가 필요한 앱이 여기에 해당.
- 앱 다운로드 숫자를 늘려 수익을 내는 데는 한계가 있음.
하지만 무료앱이 많기 때문에 경쟁성 부분에서 떨어짐.
2) 인앱 구매 모델 (Apps free with inApp purchases)
- 처음 다운로드할 때는 무료이지만,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이루어지는 추가 구매를 통해 수익 을 내는 모델.(인앱 결제(inApp payment))
- 모바일 게임에서 많이 이용.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은 무료이고, 캐릭터의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아이템은 유료 구매하는 방식.
- 이 모델의 경우, 앱에 대한 유저의 충성도가 강할수록 높은 수익률을 보임.
3) 광고가 포함된 무료 앱 모델 (Free apps with in-app advertising)
- 앱의 사용은 전적으로 무료, 대신 앱 내에 삽입된 배너광고를 통해 수익을 얻는 방법 .
- 앱의 일부 공간에 배너 광고를 게재하거나 앱 사용 도중에 몇 분마다 한 번씩 팝업 광고.
- 유저가 앱 내에 삽입된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여러분은 소액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음.
- 광고로 인해 앱의 사용성이 저해될 수 있음.
4) 프리미엄 모델 (Freemium model Apps)
- 기본적인 기능은 무료로 제공, 더 많은 기능과 서비스를 원하는 유저에게는 유료 버전을 제 공하는 방법.
- 구글플레이 전체 매출 중 98%가 프리미엄 모델을 이용한 앱
5) 무료 체험판 앱 모델 (Free trial apps)
- 유저는 앱을 무료로 다운로드하고 일정 기간 동안 앱을 체험해볼 수 있음.
기간이 지나면 결제가 필요.
6) 중개수수료
플랫폼 업체는 중개의 대가로 거래액의 일부분을 중개 수수료로 받음.(10~20%)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플랫폼 입지력이 바탕이되어야함.
7) 예약관리 솔루션제공.
플랫폼 사용자가 구축해놓은 예약관리 시스템을 통해 개별 웹사이트에서 사용가능한 예약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비용을 받음.